강원특별자치도

수정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의 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江原特別自治道
파일:강원특별자치도 도기.svg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도기
휘장
표어
새로운 강원! 특별 자치시대!
기본 정보
국가
도청 소재지
파일:춘천시 시기.png 춘천[본청]
파일:강릉시 시기.png 강릉[제2청사]
하위 행정구역
7시 16군[3]
면적
25,229.8㎢[4]
상징
도목
잣나무
도수
반달가슴곰
도조
두루미
도화
철쭉
인문 환경
인구
약 232만 명(2024년)[5]
인구 밀도
약 90명/㎢(2024년)[6]
정치
도지사
김진태
부지사
김광래, 여중협
경제
지역내총생산
약 417억 달러(2022년)[7]
1인당 지역내총생산
약 18,000달러(2022년)[8]
기타 정보
국제표준화기구 3166-2
KR-42
누리집
1. 개요2. 행정구역
2.1. 시2.2. 군

1. 개요[편집]

언어별 명칭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
Gangwon Specail Self Governing Province
강원특별자치도(江原特別自治道)한국의 특별자치도로, 도청 소재지는 춘천[본청], 강릉[제2청사]이다.

2. 행정구역[편집]

2.1. [편집]

  • 강릉시
  • 동해시
  • 삼척시
  • 속초시
  • 원주시
  • 춘천시
  • 태백시

2.2. [편집]

  • 고성군
  • 김화군
  • 양구군
  • 양양군
  • 영월군
  • 이천군
  • 인제군
  • 정선군
  • 철원군
  • 통천군
  • 평강군
  • 평창군
  • 홍천군
  • 화천군
  • 회양군
  • 횡성군
[본청] 1.1 1.2 본청 소재지이다.[제2청사] 2.1 2.2 제2청사 소재지이다.[3]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에 7개 시, 11개 군이 있다.[4]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의 면적은 16,830.8㎢이다.[5]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의 인구는 1,509,670명(2025년 8월)이다.[6]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의 인구 밀도는 89.84명/㎢(2025년 4월)이다.[7]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의 지역내총생산은 415억 달러(2022년)이다.[8]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27,225달러(2022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