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떡밥위키 ricecakerice.wiki | |
![]() | |
대표 색상 | #5a6998 / (다크) #a88bbd |
종류 | |
상태 | 운영 중 2025년 9월 25일~+15일째 |
개설일 | 2025년 4월 2일 |
폐쇄일 | 1차 폐쇄2025년 8월 23일[재개장,2025.8.25~] 2차 폐쇄2025년 8월 25일[재개장,2025.9.22~] 3차 폐쇄2025년 9월 24일[재개장,2025.9.25~] 4차 폐쇄 10월 3일 |
위키 엔진 | |
위키 문법 | 나무마크 |
문서 수 | 52개[4] |
가입 필요 여부 | 선택[5] |
라이선스 | CC BY-NC-SA 2.0 KR[6] |
스킨 | central |
사이트 주소 |
1. 개요[편집]
떡밥요약은 떡밥위키!대문에서 사용하는 비공식 슬로건.#
나무위키 차단 소명 갤러리의 공식 위키이다. 당연하게 나무위키가 다루는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이름과 도메인은 차소갤의 한 파딱의 건의안을 채택했다.. 그래서 약칭은 떡간으로 남간에서 변형된[7] 이름이며 나무위키 차단 소명 갤러리 이외의 곳들에서는 떡무위키 등으로 불린다.
차소갤의 장난감으로 시작되었으나, 갤러리 내에서 다루기 애매한 떡밥[8]들의 작성 공간을 거쳐, 방향성을 계속 수정해나가고 있다.
ChatGPT가 이 곳의 문서를 학습했다.#
Google LLC의 애드센스가 달린다. 2025년 4월 21일자에 "가치가 별로 없는 콘텐츠"라며 애드센스가 기각당했으나 4월 24일 애드센스가 허용되었다.
2. 특징[편집]
자유도가 높으므로 집단창작을 포함한 문서 편집, 문법 연습, 토론 발제 및 참가의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다. 얼마나 낮은 편이냐면, 청소년유해매체법에 걸리는 것만 아니라면 온갖 서술이 가능하다. 뻘문서, 똥문서, 독자연구, 더러움, 각종 사용자 문서에 대한 평가까지 있을 정도.. 나무위키와 독립적이지만 설립한 목적 중 하나가 나무위키이므로 알파위키 못지 않게 나무위키에서 발생한 사건을 문서로 만들 수 있다.[9] 전현직 운영자를 포함하여 여러 이용자를 주제로 문서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디시위키의 ㄹ육을 서술하는 문서가 생기기도 하고, 수상할 정도로 숭배스토킹하는 대상을 다룬 문서도 만들 수 있다. 해당 위키가 만들어진 바탕이 되는 남차소갤에서 일어나는 사건 사고 및 갤러리에서 언급하는 주제 역시 서술할 수 있다.
3. 사건 사고[편집]
떡밥위키의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떡밥위키의 떡밥위키/사건 사고를 참고하십시오.- 모종의 사건으로 소유권이 네덜란드로 넘어갔었다가 돌아왔다. 이것이 복선처럼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
- 8월, 모종의 사유로 서버가 돌아가지는 않았다. 아마 규모를 생각하지 않고 보았을 때 청동은 약관을 슬쩍 바꿔서 일을 벌인 정도라면, 이 사유는 내부에서 보았을 때는 리그베다 위키에 비유하자면 함장에게 협박하고 탈취한 정도가 될만한 사유이다. 안정을 되찾을 때까지 장비를 정지하였다.
그깟 접목질이 뭐길래 사람 하나가 이렇게 망가졌는가 싶은 뉘앙스의 반응도 나왔었는데, 관련된 갤러리에 잠깐 주딱자리를 받았던 이용자가 글을 전부 밀어버리려다 해임되면서 내용을 읽을 수도 복구할 수도 없게 되었다.
나무위키를 목적으로 나름대로 어느 정도 기여가 이루어진 위키였으나 이렇게 세월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고 관련 갤러리는 운영진들의 내 외부 논란거리로 소멸되어 사실상 통제할 수단이 전무한 갤러리가 되었다. 하지만 수집된 증거물도 있었고 기록되었으며 (#1나무위키 #2나무위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움직였으니, 목적하는 바가 적어도 절반은 이루어졌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9월 22일에 갑자기 서버가 복구되면서 기여자들이 기여 철회를 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를 다 날려버렸다고 주장하는 요푸와는 달리 서버의 데이터가 멀쩡히 남아있는 모습이다. 9월 23일에 되면서 슬슬 위키 본진에 다운 모습으로 회귀하고 있으며 요푸 또한 사건을 정리하면서 서버를 자주 여닫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나무위키를 목적으로 나름대로 어느 정도 기여가 이루어진 위키였으나 이렇게 세월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고 관련 갤러리는 운영진들의 내 외부 논란거리로 소멸되어 사실상 통제할 수단이 전무한 갤러리가 되었다. 하지만 수집된 증거물도 있었고 기록되었으며 (#1나무위키 #2나무위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서 움직였으니, 목적하는 바가 적어도 절반은 이루어졌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9월 22일에 갑자기 서버가 복구되면서 기여자들이 기여 철회를 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를 다 날려버렸다고 주장하는 요푸와는 달리 서버의 데이터가 멀쩡히 남아있는 모습이다. 9월 23일에 되면서 슬슬 위키 본진에 다운 모습으로 회귀하고 있으며 요푸 또한 사건을 정리하면서 서버를 자주 여닫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재개장,2025.8.25~] [재개장,2025.9.22~] [재개장,2025.9.25~] [4] 3차 재개장일 기준[5] 통신사 아이피 등 일부 IP는 편집이 제한되어 있었다.[6] 나무위키, 알파위키, 위브위키와 호환되었다.[7] 떡방앗간. 로고 자체가 절구공이를 연상케 한다.[8] 화젯거리 또는 이야깃거리가 되는 대상[9] 대문에 적힌 문구부터 나무위키 대문에서 검증과 편향을 언급하는 문구를 꼬아놓은 문구이다.[10] 대부분의 위키에서 CCL을 사용하는데, 동의하고 저장한 이상 철회가 불가능하다. 물론 임시조치가 아니더라도 본인이 기여했던 부분만을 정확히 도려내어 삭제한 다음 암묵적인 약속으로 다시 복구하지 않고 내버려 둘 수는 있으며, 본인이 기여했던 내용만을 본인이 손수 삭제하고 저장하는 편집은 타인의 기여분을 건드리지 않는 부분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11] 이용자가 간과한 부분이 있는데, 사실 면책조항(@)에 쓰인 내용대로라면 지금까지 배포했다가 기여철회를 요청하는 이용자에게도 책임이 있다. 물론 다른 아이피 이용자가 본인의 기여분을 철회한다면서 타인의 기여분까지 삭제를 하는 문제도 있고, 전반적으로 살펴보지 않고 일괄적으로 되돌리기했던 처리에도 문제가 있다. 만약 문서 편집기에 저장하기 전에 동의를 표시하는 칸 옆에 쓰인 문구에 "규정 및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포함한 일체의 이용규약에도 동의하는 것입니다"가 추가되어 있었다면 그런 밑장빼기 시도는 더욱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다만, 제대로 된 논의 없이 문을 닫았기에 없을 수 있었던 논란이 더 일어났다.[12] 실제 공갈 협박을 당한 사실이 수집, 기관에 제시되면 그건 그거대로 다른 문제이며, 아울러 강요와 명예훼손 건도 마찬가지라면 다른 문제이기는 하다.
- view/hide contributors list of imported document
- CCL BY-NC-SA 2.0KR에 따른 기여자 기록. 삭제된 사용자는 제외. 목록에서 IP를 제외한 계정명은 모두 떡밥위키의 계정명이다.
- sefirot
- oyster
- 119.202.178.232
- moonya
- Balom
- yopu
- Sephiroth
- DDAIT
- ricecakewiki
- Note
- 117.110.123.183
- normai
- 1.232.90.66
- 23PurpleGreen32
- Kyoka
- Rices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