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

수정됨
남간에서 넘어옴
나무위키
namuwiki
파일:나무위키 로고.svg
종류
상태
운영 중
2015년 4월 17일~+3829일째
개설일
2015년 4월 17일
소유자
위키 엔진
위키 문법
사용 언어
설립자
라이선스
가입 필요 여부
선택
영리 여부
영리
대표 색상
#00A495 → #13AD65
사이트 주소
파일:나무위키 로고.svg

1. 개요2. 문제점3. 룰북4. 여담

1. 개요[편집]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공식 슬로건

나무위키는 2015년 4월 17일에 개설된 엔하계 위키로,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를 계기로 설립되었다. namu, PPPP, kasio가 자체 개발한 the seed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2016년 5월 7일 위키 소유권이 namu에서 파라과이 아순시온에 위치한 umanle S.R.L.로 이전되었다. namu는 개발자로 남아 있어 드물게 나무위키에 나타난다.

2. 문제점[편집]

  • 사측 관리자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어 이와 관련된 비판과 논란이 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 등지에서 돌고 있다.
  • 일부 ASN의 우회수단으로 접속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열람까지 차단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한다.[2]

3. 룰북[편집]

  1. 크게 기본방침과 편집지침으로 나뉘어진다.[3]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고 싶다면 "기본방침"부터 읽기 시작하면 된다.
    1. "1. 서문"은 기념비적인 문구이므로 읽고 넘어갈 수 있다.
    2. 기본방침의 "2.1. 나무위키의 정의"를 읽기 시작했다면 2.2 문단에 이용자라는 용어가 먼저 언급되므로 2.1 문단을 읽고 나서 "3.1. 이용자의 정의"를 읽는다.
    3. 여기까지 읽었다면 다시 '기본방침'의 '2.2 문단'부터 내용을 읽어나간다. '3.1 이용자의 정의'는 다시 읽어도 된다.
      • "편집권 남용"할 때의 편집권이 여기에서 나온다.
    4. "3. 이용자와 권리" 문단을 다 읽었으면 앞으로 운영진, 운영자, 관리자, 중재자라는 단어가 튀어나오므로, "/운영 관리 방침"에서 "2.2 선출직 운영자"까지 읽고 나서 '기본방침'의 "4. 규정" 문단을 읽는다.
      • "사측에 문의한다"는 말의 의미를 알 수 있다.
    5. "4.3. 규정의 해석"까지만 읽고 "/문서 관리 방침"을 읽는다. "규정의 개정"부터 그 이후 뒷부분은 적어도 토론 규정을 읽지 않았다면 이게 무슨 글인가 싶어할 수 있으니까 다른 규정들을 다 읽고 나서 거의 마지막으로 읽는다.
  2. 문서 관리 방침을 읽게 되면 적어도 본인이 편집하는 문서가 무슨 종류의 문서임을 알 수 있다. "문서의 종류"를 읽고 "편집"을 읽기 시작하면 "편집요청" 등이 나오는데, 앞에 무언가가 생략되어 있다.
    • 이용자는 나무위키의 문서를 열람하거나 편집, 작성, 수정하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한다.

      기본방침 3.1. 이용자의 정의
      이 설명으로는 조금 모자랄 수 있다. 문서를 편집하는 작업의 종류로는 (CC BY-NC-SA 라이선스에 따라 할 수 있는) 내용 수정, 요소 분해 및 재구성 작업만이 아니라 이동 작업과 삭제 작업이 있다. 다른 사람이 기여한 부분이 있다면 적어도 저작자를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을 남겨놓아야 하기 때문에 이동이나 삭제를 지정된 방법으로 해야 한다.
    • 이유나 목적 또는 기타 코멘트 등을 남길 수 있도록 "편집 요약" (또는 "요약")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CCL에 따라 여러 이용자들이 문서를 편집한 역사가 같이 옮겨질 수 있도록 이동을 사용해야 한다. 다른 제목을 파놓고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옮기는 작업(문서 삭제식 이동)만을 할 수가 없는 이유이다.
      • 자기 문서에서 파생된 문서이든 분리한 내용이든 다른 문서에서 내용을 가져올 때 다른 사람이 기여한 부분이 포함되었다면, 그것을 나타내어야 한다. 틀:문서 가져옴은 그렇게 결정된 한 가지 방법이다.
    • 삭제는 게시되고 있는 목록에서 삭제하는 기능이다. 단순 삭제한답시고 편집 내용을 공백으로 만들고 저장하는 작업은 문서 자체를 삭제하는 작업이 아니라 있었던 어떤 내용을 공백으로 바꾸는 작업이며, 삭제 기능을 써야지 문서 자체가 삭제됨을 알 수 있다.
    • 편집 요청은 문서를 이렇게 편집할 안을 제안하고 다른 이용자의 승낙을 기다리는 것이므로, 승낙해주는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편집 요청을 승인하지 않고 그대로 베껴 저장할 바에 승인해주는 것이 좋으며 편집 요청을 취소시킬 목적으로 승인해놓고 문서를 되돌릴 바에 이유를 제시하고 닫아주는 것이 좋다.

4. 여담[편집]

  • senkawa 스킨에서 espejo 스킨으로 기본스킨이 변경되었다.[4]
  •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문서의 열람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테면 별도 읽기 ACL 설정이 없어보이는 한 문서가 있다. #
[1] 이전 소유자: namu[2] Tor의 경우 접속이 대부분 차단되었다.[3] 문서 역사를 보면 기본방침에서 편집지침이 분기되었다.(r365) 다만 모종의 관습이 오랫동안 이어져서 기본방침은 하라체, 편집지침은 합니다체로 유지되고 있다. 하루는 문체를 통일하는 것이 어떠하는가 싶어 토론이 열렸지만 현상유지로 결론이 났었다. 그러므로 기본방침과 편집지침의 문체가 다른 상황을 감안하고 읽어야 한다.[4] senkawa 스킨은 지원이 종료되어 해당 스킨으로 이용 불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