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1 ➤ r12 |
1 | [목차] |
2 | == 개요 == |
3 | 金得臣 |
4 | 아래의 인물들은 심지어 한자까지 같다 1의 인물은 문신(문과에 급제한 사람이나, 음서 등으로 문관직에 출사한 사람)이고, 2의 김득신은 화가다. |
5 | 두 분 중 더 유명하신 분을 꼽는다면 1번 항목의 분이다. |
6 | == 김득신 (시인) == |
7 | 자세한 내용은 [[김득신(시인)]]문서로. |
8 | 일생 : [[1604년]]([[선조(조선)|선조]] 37) ~ [[1684년]]([[숙종(조선)|숙종]] 10) [[9월 6일]] |
9 | |
10 | 본관은 [[안동 김씨|안동]](安東). 자는 자공(子公)이며, 호는 백곡(栢谷)·백곡노인(栢谷老人)·백옹(栢甕)·귀석산인(龜石山人) 등이다. 할아버지가 [[진주 대첩]]의 명장 진주목사 [[김시민]]이며,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치(金緻)다. 다만 김치는 본래 김시민의 형인 김시회의 아들인데 생후 김시민의 [[양자(가족)|양자]]로 [[입양]]되어 가문을 이었다. 1604년 [[충청도]] 청안현 삼성당(현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내성리 삼성당)에서 태어났다.[[http://m.cailbo.com/40853|#]] |
11 | 김득신은 태어날 때 태몽에 나온 '노자'의 정령을 받았다. |
12 |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노력하는 사람의 표본'''.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았으나 다행히 살아남았는데, 그때 뇌손상을 입었는지 심하게 아둔했다고 전해진다. 10살때 돼서야 글을 깨우쳤고 그 기억력이 뒤돌아서면 모두 잊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아버지의 독려와 가르침[* 일설에 따르면 득신이 태어날 즈음에 부친이 자기 집에 [[노자]]가 다시 태어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때문에 아버지는 노자의 환생이니 무엇이든 큰 인물이 될 것이라 생각하여 아둔함에 혀를 차면서도 아들을 격려했다고. 이러한 끈기 있는 학업 덕에 김득신은 만년에 시인으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으로 극복하여 20세에는 처음으로 글을 지었고, 1642년([[인조]] 20) 39세의 나이에 식년시 진사시에 3등 51위로 합격하였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b_1642_011102|#]] 그리고 1662년([[현종(조선)|현종]] 3) 59세의 늦은 나이에 증광시 문과에 병과 19위로 급제했다.[[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662_006437|#]] 1669년(현종 10) [[사헌부]]장령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이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오르고 안풍군(安豐君)에 봉해졌는데, 얼마 뒤 사직하고 충청도 괴산군 능촌리(현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에 독서재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300610000&pageNo=1_1_1_0|취묵당]](醉墨堂)을 짓고 시(詩)를 지으며 살았다. |
13 | |
14 | 여기서 일반적인 극복이라면 책을 몇번 더 읽는 수준이겠지만, 득신은 읽는 횟수가 상상을 초월했다. 특히 [[사마천]]의 사기열전(史記列傳) 백이열전(伯夷列傳) 부분을 '''1억 1만 3천번''' 읽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심지어 부인이 먼저 죽어 장례를 치르는데 곡은 커녕 백이열전 읽는데 여념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서재 이름은 억만재(億萬齋)였다. 물론 이 숫자가 안좋은 기억력만으로 나온 숫자는 아니다. 좋은 글은 몇번 더 읽는 독서광들에게서 자주 볼 수 있는 습관이 겹쳤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한유]]의 <사설>은 13,000번, <악어문>은 14,000번, <노자전>은 20,000번, <능허대기>는 25,000번을 읽었다. 또한 여든까지 살아 아내와 딸을 먼저 보냈는데 장례식장에서도 하라는 곡은 안하고 책에 푹빠져 읽고 있었다고 한다.] 참고로 당시에는 1억이 지금의 1억(10,000의 1만 배)이 아닌 지금의 10만을 나타내는 단위였다. 즉 현대 기준으로 '''11만 3천번''' 읽은것. |
15 | |
16 | 특히 글을 잘 지었다고 한다.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떨치게 된 계기는 한문(漢文)의 4대가 중 한명인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극찬 덕분이었을 정도다. 그의 시를 접한 이식은 김득신에게 "당대 최고의 시인"이라고 평했다. |
17 | |
18 | 1684년(숙종 10) 9월 6일,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6622&docId=545973&categoryId=46622 80세의 일기로 자연사되어 생을 마감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1009006_003|#]] 저서는 《백곡집》 등이 있다. |
19 | |
20 | 굉장히 오래 살았는데,[* 70대 시기에 '''그 악몽같던 [[경신대기근]] 시기를 겪었음에도 생존하였다.''' 이 시기에 조선 인구의 10%가 사망했을 정도이니 가히 천운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만 마지막에는 재물을 노린 화적떼 손에 피살당했다. 전해오는 이야기로 그 화적떼가 사실 집안의 노비로 평소 김득신에 앙심을 품고 일부러 계획했다고 한다. 이 비보를 들은 숙종은 충격을 받고 토포사로 하여금 화적떼를 토벌하라는 어명을 내렸다. |
21 | |
22 | 묘소는 증평군에 있으며 증평군에서 김득신 [[백일장]]과 김득신 기념관 등 그를 기념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23 | |
24 | 아버지 김치가 생전 점을 잘쳤고, 민담에서 [[염라대왕]]이 됐다는 설화가 있어 김득신도 아버지 관련 설화에 잘 등장하고, 본인도 천연두 후유증으로 [[건망증]]이 생겨 그에 대한 이런저런 에피소드가 굉장히 많다. |
25 | |
26 | * 늙은 마부가 이제 나이들어 은퇴하게 퇴직금으로 먹고 살 전답을 달라고 청했다. 그러나 김득신은 그 자리에서 가멸차게 거절하고 마부는 실망해 뒤돌아가려던 찰나, 백곡이 다시 불러 퇴직시켜주고 전답을 내려주었다. 주위 사람들이 왜 아까는 안주고 이제야 주냐는 질문에 백곡 왈, 늘 마부가 말을 끌어 뒤통수만 보다보니 정면 얼굴은 잊어버렸다고. |
27 | |
28 | * 역시 마부에 관한 이야기. 말을 타고 집에 돌아가던 중 시를 읆는데 마지막 문구가 도통 생각나지 않더란다. 그런데 마부가 뒤이어 구절을 읊자 득신은 감탄하면서 "야 니가 말에 타라"며 자기가 고삐를 쥐고 마부를 말에 태우자, 마부는 득신이 늘 읊던 당시(唐詩)가 아니냐며 웃자 이마를 탁 쳤다고 한다. 하인조차 질리게 들어 외울 정도면 반복 학습의 끝판왕이다. |
29 | '''김득신은 진주대첩의 영웅 김시민 장군의 손자라고 한다''' |
30 | * 어느 날 굉장한 명시를 하나 우연히 읽게 되었다. 백곡은 그 시를 암송하기 위해 되풀이하며 읽었는데, 친구가 와서 그 시를 지은 사람은 바로 백곡이라고 가르쳐 주었다. 자신이 쓴 글도 잊어버린 것이다. |
31 | |
32 | * 친구의 집에서 시회가 열려 백곡은 말을 타고 친구의 집으로 향했다. 그러나 시제를 생각하느라 말을 모는 것을 깜빡 잊었고 말은 집 문 앞에서 서성거리기만 했다. 마침 백곡의 집에 다니러 온 처조카가 말을 몰고 집으로 들어오자 백곡은 부인과 눈이 딱 마주쳤다. 의아해진 백곡은 "아니, 부인이 왜 이 집에 와 계시오?"라고 물었고 부인은 "여긴 영감 집이외다."라고 대답해 주었다. 그러자 백곡은 "내가 언제 시회를 끝내고 돌아왔지?"라며 황망해했다. |
33 | |
34 | 이처럼 그는 노력하는 사람이자 다독가의 표본으로서 천재교육 기준 중등 국어 2-1와 5-2 국어 나 교과서에 그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
35 | 얼마나 유명하면 영상[* 매체 자료 공부 단원에서] 까지 있을지 모른다. |
36 | |
37 | == 김득신 (화가) == |
38 | 이 분은 위브위키[* 뿐만 아니다.]에 개별 문서로 등재 되어 있지 않다.[* 물론 [[김득신(화가)]]치면 있기는 있지만.. 한번 해보라 어떻게 되는지...] |
39 | 조선 후기의 시인생 : 1754년[* 아버지 김응리와는 11년, 삼촌 김응환과는 12년 차이다. 정확한 생년인지는 불명.] ∼ 1822년 |
40 | |
41 |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현보(賢輔), 호는 긍재(兢齋). 그의 가문은 대대로 명문 화원 가문이었는데, 할아버지, 아버지 김응리(金應履), 삼촌, 동생들, 아들들 모두 화원이었다. 김득신도 가문을 따라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이 되었다. |
42 | |
43 | 초기엔 삼촌인 김응환(金應煥)의 영향을 많이 받은 그림들을 그렸고, 점점 [[김홍도]]의 영향을 많이 받은 그림을 그렸다. 특히 풍속화에서 김홍도를 가장 잘 계승한 인물로 꼽힌다. |
44 | |
45 | 대표작에 《[[파적도]]》, 《귀우도(歸牛圖)》, 《귀시도(歸市圖)》 , 《오동폐월도(梧桐吠月圖)》등이 있다. |
46 | |
47 | * [[고산구곡시화도 병풍]] |
48 | *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
49 | * [[화성행행도 병풍]] |
50 | |
51 | [[분류:조선의 시인]][[분류:조선의 화가]][[분류:동명이인]][[분류:증평군 출신 인물]][[분류:안동 김씨(선)]][[분류:개성 김씨]] |